특허 새싹채소 재배장치(Sprouts cultivation device)
본 발명은 새싹채소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용수를 저장 및 공급하는 물 탱크와; 새싹 또는 식물이 재배되는 다수개의 케이스를 정렬하여 구성되는 재배 틀과; 상기 재배 틀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용수 파이프가 설치되고 상기 용수 파이프의 일 측 끝단에는 상기 물 탱크와 연결되는 수직 파이프가 설치되는 용수 수단과; 상기 용수 파이프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재배 틀에 용수를 공급하는 선택밸브와; 상기 용수 수단의 상부에 설치되고 햇빛을 광도를 조절 및 차단하는 차양수단과; 상기 물 탱크에 수용되는 용수와 용수 수단 및 선택밸브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씨앗이 재배되는 재배 틀에 일정한 양의 용수를 공급하면서도 재배하고자 하는 새싹에 따라 다른 햇빛의 광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
출원번호 10-2013-0019602
출원일자 2013.02.25 -
등록번호 -
등록일자 -0001.11.30 -
출원인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발명자 김선주
본 발명은 새싹채소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용수를 저장 및 공급하는 물 탱크와; 새싹 또는 식물이 재배되는 다수개의 케이스를 정렬하여 구성되는 재배 틀과; 상기 재배 틀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용수 파이프가 설치되고 상기 용수 파이프의 일 측 끝단에는 상기 물 탱크와 연결되는 수직 파이프가 설치되는 용수 수단과; 상기 용수 파이프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재배 틀에 용수를 공급하는 선택밸브와; 상기 용수 수단의 상부에 설치되고 햇빛을 광도를 조절 및 차단하는 차양수단과; 상기 물 탱크에 수용되는 용수와 용수 수단 및 선택밸브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씨앗이 재배되는 재배 틀에 일정한 양의 용수를 공급하면서도 재배하고자 하는 새싹에 따라 다른 햇빛의 광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허 패밀리 유방암 진단용 바이오마커(Biomarker for diagnosing breast cancer)
본 발명은 유방암 진단용 바이오마커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MAMDC2의 특정 DNA 단편 또는 전장 DNA로 이루어진 유방암 진단용 바이오마커를 제공한다. 검체의 조직으로부터 본 발명의 유방암 진단용 바이오마커를 구성하는 유전자인 MAMDC2의 DNA 단편 또는 전장 D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고 이를 정상 조직에서의 발현 수준과 비교하는 경우 유방암을 효과적으로 진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방암을 조기에 치료할 수 있다.
-
출원번호 10-2011-0065194
출원일자 2011.06.30 -
등록번호 10-1441013
등록일자 2014.09.05 -
출원인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주식회사 와이바이오로직스
발명자 맹필재 , 송영자 , 박영우 , 송규상 , 서광선 , 이진선 , 성경미 , 유석호
본 발명은 유방암 진단용 바이오마커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MAMDC2의 특정 DNA 단편 또는 전장 DNA로 이루어진 유방암 진단용 바이오마커를 제공한다. 검체의 조직으로부터 본 발명의 유방암 진단용 바이오마커를 구성하는 유전자인 MAMDC2의 DNA 단편 또는 전장 D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고 이를 정상 조직에서의 발현 수준과 비교하는 경우 유방암을 효과적으로 진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방암을 조기에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생체 이용률이 향상된 에프로살탄 고체 분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에 관한 것으로, 분무 건조를 통해 에프로살탄, 친수성 고분자,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무정형의 에프로살탄을 포함하는 에프로살탄 고체 분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에프로살탄 고체 분산체는 에프로살탄을 무정형의 결정 구조를 갖도록 제조된 것으로, 상기 에프로살탄의 용해도 및 용출률이 증가하여 고혈압 예방 또는 치료용도, 울혈성심부전, 신장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로서 에프로살탄의 생체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출원번호 10-2012-0117246
출원일자 2012.10.22 -
등록번호 10-1441450
등록일자 2014.09.11 -
출원인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발명자 허강무 , 황준석
본 발명은 생체 이용률이 향상된 에프로살탄 고체 분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에 관한 것으로, 분무 건조를 통해 에프로살탄, 친수성 고분자,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무정형의 에프로살탄을 포함하는 에프로살탄 고체 분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에프로살탄 고체 분산체는 에프로살탄을 무정형의 결정 구조를 갖도록 제조된 것으로, 상기 에프로살탄의 용해도 및 용출률이 증가하여 고혈압 예방 또는 치료용도, 울혈성심부전, 신장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로서 에프로살탄의 생체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허 패밀리 이중 블레이드를 갖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Double bladed surgical stapling device)
본 발명은 외과 수술에서 수술부위를 스테이플링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하부죠우에 형성된 수용부에 전,후방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을 기준으로 좌, 우측편에 다수의 스테이플이 내장되며,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내장된 다수의 스테이플이 상향으로 출현해 생체조직을 스테이플링하는 스테이플 카트리지와,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 몸체의 후단에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어, 스테이플 카트리지 몸체를 따라 전진하면서 상부죠우와, 하부죠우 사이에 위치되는 생체조직을 절단함과 동시에 채취하는 한 쌍을 이루는 커터를 포함하여, 수술 중 지정부위를 스테이플링하고, 스테이플링이 실시되는 부위의 절단 및 생체조직 일부를 바로 채취해, 채취된 생체조직으로 암세포나 다른 이상 세포의 유무 판별하는 급속동결절편검사를 수술 중에 이행할 수 있는 이중 블레이드를 갖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를 제공한다.
-
출원번호 10-2014-0090940
출원일자 2014.07.18 -
등록번호 10-1444058
등록일자 2014.09.17 -
출원인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발명자 강민웅
본 발명은 외과 수술에서 수술부위를 스테이플링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하부죠우에 형성된 수용부에 전,후방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을 기준으로 좌, 우측편에 다수의 스테이플이 내장되며,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내장된 다수의 스테이플이 상향으로 출현해 생체조직을 스테이플링하는 스테이플 카트리지와,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 몸체의 후단에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어, 스테이플 카트리지 몸체를 따라 전진하면서 상부죠우와, 하부죠우 사이에 위치되는 생체조직을 절단함과 동시에 채취하는 한 쌍을 이루는 커터를 포함하여, 수술 중 지정부위를 스테이플링하고, 스테이플링이 실시되는 부위의 절단 및 생체조직 일부를 바로 채취해, 채취된 생체조직으로 암세포나 다른 이상 세포의 유무 판별하는 급속동결절편검사를 수술 중에 이행할 수 있는 이중 블레이드를 갖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용융염 전해정련법을 이용한 금속 스크랩으로부터 고순도 금속 제조방법 및 염증류 통합 잉곳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해셀 내에 음극에는 제조해야 할 모합금의 기지금속를 위치시키고, 양극에는 모합금의 첨가원소가 기지원소인 합금이나 스크랩을 위치시켜, 용융염 전해법을 통해 음극에 전착시키고, 모합금의 기지금속(음극), 첨가원소(전착물), 그리고 전착물에 공전착된 잔존염을 동시에 염증류 통합 잉곳 제조 장치에서 용해하여 모합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
출원번호 10-2013-0034339
출원일자 2013.03.29 -
등록번호 10-1444589
등록일자 2014.09.18 -
출원인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발명자 이종현 , 박경태 , 정선교
본 발명은 용융염 전해정련법을 이용한 금속 스크랩으로부터 고순도 금속 제조방법 및 염증류 통합 잉곳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해셀 내에 음극에는 제조해야 할 모합금의 기지금속를 위치시키고, 양극에는 모합금의 첨가원소가 기지원소인 합금이나 스크랩을 위치시켜, 용융염 전해법을 통해 음극에 전착시키고, 모합금의 기지금속(음극), 첨가원소(전착물), 그리고 전착물에 공전착된 잔존염을 동시에 염증류 통합 잉곳 제조 장치에서 용해하여 모합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설페이트 전분을 포함하는 복막투석액용 삼투압제 및 이를 포함하는 복막투석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글루코스 고리 내 하이드록시기의 수소 전부 또는 일부가 설페이트기로 치환된 설페이트 전분을 포함하는 복막투석액용 삼투압제 및 이를 포함하는 복막투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설페이트 전분은 높은 분자량으로 복막 내 흡수가 적어 장시간 동안 일정 수준의 삼투농도를 유지하여 한외여과를 야기한다. 또한, 세포 독성이 적고, 글루코스 분해산물(GDPs, glucose degradation products)의 생성을 최소화해 복막투석액에 의한 부작용을 감소하여 이코덱스트린을 대체하여 복막투석액에 사용할 수 있다.
-
출원번호 10-2013-0004810
출원일자 2013.01.16 -
등록번호 10-1444291
등록일자 2014.09.18 -
출원인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경북대학교병원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발명자 류혜명 , 박선희 , 김용림 , 허강무 , 황준석
본 발명은 설페이트 전분을 포함하는 복막투석액용 삼투압제 및 이를 포함하는 복막투석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글루코스 고리 내 하이드록시기의 수소 전부 또는 일부가 설페이트기로 치환된 설페이트 전분을 포함하는 복막투석액용 삼투압제 및 이를 포함하는 복막투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설페이트 전분은 높은 분자량으로 복막 내 흡수가 적어 장시간 동안 일정 수준의 삼투농도를 유지하여 한외여과를 야기한다. 또한, 세포 독성이 적고, 글루코스 분해산물(GDPs, glucose degradation products)의 생성을 최소화해 복막투석액에 의한 부작용을 감소하여 이코덱스트린을 대체하여 복막투석액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리콘 나노 입자; 및 상기 실리콘 나노 입자의 표면에 형성된 실록산층을 포함하는 음극활물질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음극활물질을 이용한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
출원번호 10-2013-0003596
출원일자 2013.01.11 -
등록번호 10-1445019
등록일자 2014.09.19 -
출원인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발명자 김종선 , 뉴엔쿠옹 , 송승완
본 발명은 실리콘 나노 입자; 및 상기 실리콘 나노 입자의 표면에 형성된 실록산층을 포함하는 음극활물질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음극활물질을 이용한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특허 단상 GIS-NaP1 제올라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Single phase GIS-NaP1 zeolite and a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본 발명은 50~200㎚ 크기의 균일한 나노입자로 이루어져 표면이 울퉁불퉁하며 수소에 대하여 높은 흡착성을 갖는 단상 GIS-NaP1 제올라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단상 GIS-NaP1 제올라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은 단상 GIS-NaP1 제올라이트로서, 지스몬딘(gismondine) 유사 구조물을 포함하는 0.8 이상 20㎛ 이하 크기의 NaP1 제올라이트 구(spher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출원번호 10-2013-0048664
출원일자 2013.04.30 -
등록번호 10-1444939
등록일자 2014.09.19 -
출원인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발명자 조철희 , 판카즈 샤르마 , 여정구 , 한문희
본 발명은 50~200㎚ 크기의 균일한 나노입자로 이루어져 표면이 울퉁불퉁하며 수소에 대하여 높은 흡착성을 갖는 단상 GIS-NaP1 제올라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단상 GIS-NaP1 제올라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은 단상 GIS-NaP1 제올라이트로서, 지스몬딘(gismondine) 유사 구조물을 포함하는 0.8 이상 20㎛ 이하 크기의 NaP1 제올라이트 구(spher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 기술이전 배추속 작물의 개화시기 판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detecting flowering time for brassica rapa)
본 발명은 배추속 작물의 SNP 유전자 핵산서열 분석을 통하여 배추속 작물의 개화시기를 판별할 수 있는 PCR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을 통하여 배추속 작물의 개화시기와 관련있는 SNP를 간단하고 저렴하게 탐지할 수 있어 배추속 작물의 개화시기 조절 및 재배시기 선택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육종시 유묘시기에 개화성질을 파악할 수 있어 육종의 시간을 크게 단축하여 종자산업의 활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
출원번호 10-2012-0061704
출원일자 2012.06.08 -
등록번호 10-1445446
등록일자 2014.09.22 -
출원인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발명자 허윤강 , 이현주 , 임용표
본 발명은 배추속 작물의 SNP 유전자 핵산서열 분석을 통하여 배추속 작물의 개화시기를 판별할 수 있는 PCR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을 통하여 배추속 작물의 개화시기와 관련있는 SNP를 간단하고 저렴하게 탐지할 수 있어 배추속 작물의 개화시기 조절 및 재배시기 선택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육종시 유묘시기에 개화성질을 파악할 수 있어 육종의 시간을 크게 단축하여 종자산업의 활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특허 핵산 전달용 PAMAM 유도체(A PAMAM Dendrimer Derivatives for Neucleotide delivery)
본 발명은 세포 내로 핵산을 전달할 수 있는 비 바이러스성 벡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완충 능력(Buffering capacity)이 향상되고 세포독성을 가지지 않으면서 트랜스펙션 효율을 현저히 개선시킨, PAMAM 덴드리머 기반의 세포내 핵산 전달용 PAMAM 유도체 및 이와 핵산이 결합한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이는 유전자 트랜스펙션 효율을 개선하고, 이미다졸의 양성자 완충 효과가 복합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복합체의 세포질, 핵 내로의 위치화(localization)를 강화시킨다.
-
출원번호 10-2011-0087711
출원일자 2011.08.31 -
등록번호 10-1445438
등록일자 2014.09.22 -
출원인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발명자 최준식 , 유광식 , 배윤미
본 발명은 세포 내로 핵산을 전달할 수 있는 비 바이러스성 벡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완충 능력(Buffering capacity)이 향상되고 세포독성을 가지지 않으면서 트랜스펙션 효율을 현저히 개선시킨, PAMAM 덴드리머 기반의 세포내 핵산 전달용 PAMAM 유도체 및 이와 핵산이 결합한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이는 유전자 트랜스펙션 효율을 개선하고, 이미다졸의 양성자 완충 효과가 복합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복합체의 세포질, 핵 내로의 위치화(localization)를 강화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