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영역
대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스크랩하기

특허 기술이전 알칼라아제를 이용한 유청 단백질의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hydrolysate of whey protein prepared by using alcalase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본 발명은 α-락트알부민(α-Lactalbumin, α-LA),β-락토글로불린(β-lactoglobulin, β-LG) 및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청 단백질에 알칼라아제(alcalase)를 처리하여 얻은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유청 단백질의 가수분해물 중 분자량 10kDa 이하인 것을 선택적으로 추출한 가수분해물이 특히 염증 억제 효과가 우수하여, 염증성 장질환, 염증성 콜라겐 혈관 질환, 사구체신염, 염증성 피부 질환, 유육종증, 망막염, 위염, 간염, 장염, 관절염, 편도선염, 인후염, 기관지염, 폐렴, 췌장염, 패혈증, 신장염 등과 같은 각종 질환의 치료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 출원번호 10-2014-0075107
    출원일자 2014.06.19
  • 등록번호 10-1464592
    등록일자 2014.11.18
  • 출원인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발명자 남명수 , 유재민 , 오덕근
초록

본 발명은 α-락트알부민(α-Lactalbumin, α-LA),β-락토글로불린(β-lactoglobulin, β-LG) 및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청 단백질에 알칼라아제(alcalase)를 처리하여 얻은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유청 단백질의 가수분해물 중 분자량 10kDa 이하인 것을 선택적으로 추출한 가수분해물이 특히 염증 억제 효과가 우수하여, 염증성 장질환, 염증성 콜라겐 혈관 질환, 사구체신염, 염증성 피부 질환, 유육종증, 망막염, 위염, 간염, 장염, 관절염, 편도선염, 인후염, 기관지염, 폐렴, 췌장염, 패혈증, 신장염 등과 같은 각종 질환의 치료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닫기

특허 AtbHLH113 유전자를 이용한 안토시아닌 생합성이 조절된 형질전환 식물체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식물체(Method for producing transgenic plant with regulated anthocyanin biosynthesis using AtbHLH113 gene and the plant thereof)

본 발명은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 유래 bHLH113 (basic helix-loop-helix 113)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체의 안토시아닌 생합성을 조절하는 방법, 상기 bHLH113 단백질 코딩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 식물세포를 형질전환하여 식물의 안토시아닌 생합성이 조절된 형질전환 식물체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안토시아닌 생합성이 조절된 형질전환 식물체 및 이의 종자, 상기 bHLH113 단백질 코딩 유전자를 포함하는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체의 안토시아닌 생합성 조절용 조성물 및 상기 bHLH113 단백질 코딩 유전자의 발현이 저해되어 안토시아닌 생합성이 증가된 돌연변이 식물체에 관한 것이다.

  • 출원번호 10-2014-0029381
    출원일자 2014.03.13
  • 등록번호 10-1465692
    등록일자 2014.11.20
  • 출원인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발명자 박연일 , 신동호 , 최명구
초록

본 발명은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 유래 bHLH113 (basic helix-loop-helix 113)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체의 안토시아닌 생합성을 조절하는 방법, 상기 bHLH113 단백질 코딩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 식물세포를 형질전환하여 식물의 안토시아닌 생합성이 조절된 형질전환 식물체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안토시아닌 생합성이 조절된 형질전환 식물체 및 이의 종자, 상기 bHLH113 단백질 코딩 유전자를 포함하는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체의 안토시아닌 생합성 조절용 조성물 및 상기 bHLH113 단백질 코딩 유전자의 발현이 저해되어 안토시아닌 생합성이 증가된 돌연변이 식물체에 관한 것이다.

닫기

특허 야누스 에멀전의 제조방법(Method for Fabrication of Janus Emulsion)

본 발명은 간단한 미세유체장비를 사용하여 복잡한 구조의 단분산성이 높은 야누스 에멀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산상 주입구, 연속상 주입구, 배출구, 상기 분산상 주입구에 연결된 미세채널과 상기 연속상 주입구와 연결된 미세채널이 교차하는 하나의 접합점 및 상기 접합점으로부터 배출구로 연결된 반응용 미세채널로 이루어진 미세유체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분산상 주입구로 계면활성제와 분산제가 분산상 용매에 용해된 분산상을 주입하고, 상기 연속상 주입구로 분산상과 혼합되지 않는 연속상 용매에 분산제와 연속상 용매에 대한 분배계수가 0.3~6.0인 상분리제가 용해된 연속상을 주입하며, 분산상 중 분산제의 농도에 의해 생성되는 에멀전의 다중 구조를 결정하는 한편, 상기 에멀전의 최외곽 껍질은 분산제와 분산상 용매가 비대칭적으로 분포하는 야누스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체장비를 이용한 야누스 에멀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 출원번호 10-2013-0044637
    출원일자 2013.04.23
  • 등록번호 10-1466771
    등록일자 2014.11.24
  • 출원인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발명자 이창수 , 최창형
초록

본 발명은 간단한 미세유체장비를 사용하여 복잡한 구조의 단분산성이 높은 야누스 에멀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산상 주입구, 연속상 주입구, 배출구, 상기 분산상 주입구에 연결된 미세채널과 상기 연속상 주입구와 연결된 미세채널이 교차하는 하나의 접합점 및 상기 접합점으로부터 배출구로 연결된 반응용 미세채널로 이루어진 미세유체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분산상 주입구로 계면활성제와 분산제가 분산상 용매에 용해된 분산상을 주입하고, 상기 연속상 주입구로 분산상과 혼합되지 않는 연속상 용매에 분산제와 연속상 용매에 대한 분배계수가 0.3~6.0인 상분리제가 용해된 연속상을 주입하며, 분산상 중 분산제의 농도에 의해 생성되는 에멀전의 다중 구조를 결정하는 한편, 상기 에멀전의 최외곽 껍질은 분산제와 분산상 용매가 비대칭적으로 분포하는 야누스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체장비를 이용한 야누스 에멀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닫기

특허 다중 에멀전의 제조방법(Method for Fabrication of Multiple Emulsion)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미세유체장비를 사용하여 단분산성이 높은 다중 에멀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산상 주입구, 연속상 주입구, 배출구, 상기 분산상 주입구에 연결된 미세채널과 상기 연속상 주입구와 연결된 미세채널이 교차하는 하나의 접합점 및 상기 접합점으로부터 배출구로 연결된 반응용 미세채널로 이루어진 미세유체장비를 이용한 에멀전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산상 주입구로 주입되는 분산상은 분산제가 분산상 용매에 용해된 용액이고, 상기 연속상 주입구로 주입되는 연속상은 분산상과 혼합되지 않는 연속상 용매에 상분리제가 용해된 용액이며, 상기 상분리제는 분산제와 연속상 용매에 대한 분배계수가 0.3~6.0으로, 분산상 중 분산제의 농도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생성되는 에멀전의 다중 구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체장비를 이용한 에멀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 출원번호 10-2013-0042162
    출원일자 2013.04.17
  • 등록번호 10-1466770
    등록일자 2014.11.24
  • 출원인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발명자 이창수 , 최창형
초록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미세유체장비를 사용하여 단분산성이 높은 다중 에멀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산상 주입구, 연속상 주입구, 배출구, 상기 분산상 주입구에 연결된 미세채널과 상기 연속상 주입구와 연결된 미세채널이 교차하는 하나의 접합점 및 상기 접합점으로부터 배출구로 연결된 반응용 미세채널로 이루어진 미세유체장비를 이용한 에멀전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산상 주입구로 주입되는 분산상은 분산제가 분산상 용매에 용해된 용액이고, 상기 연속상 주입구로 주입되는 연속상은 분산상과 혼합되지 않는 연속상 용매에 상분리제가 용해된 용액이며, 상기 상분리제는 분산제와 연속상 용매에 대한 분배계수가 0.3~6.0으로, 분산상 중 분산제의 농도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생성되는 에멀전의 다중 구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체장비를 이용한 에멀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닫기

특허 패밀리 고강도, 고탄성, 고내식성, 내마모성 및 고전도도를 동시에 구현하는 구리계 하이브리드 합금 및 그 제조방법(Hybrid Copper alloy realizing simultaneously high strength, high elastic modulus, high corrosion-resistance, wear resistance, and high conductiv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고강도, 고탄성, 고내식성, 내마모성 및 고전도도를 동시에 구현하는 구리계 하이브리드 합금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구리계 하이브리드 합금은 (A) Cu-Zn, Cu-Al, Cu-Ni-Zn, Cu-Ni-Si, Cu-Ni-Sn 및 Cu-Ni-Si-Sn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구리합금 Cu(A)와, (B) Cu-Cr, Cu-Zr, Cu-Ag, Cu-Mg 및 Cu-Cr-Zr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구리합금 Cu(B)가 이층 또는 다층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현존하는 구리계 합금에서는 얻을 수 없는 고강도, 고탄성, 고내식성, 내마모성 및 고전도도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구리계 하이브리드 합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 출원번호 10-2012-0039273
    출원일자 2012.04.16
  • 등록번호 10-1468203
    등록일자 2014.11.25
  • 출원인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발명자 홍순익 , 오기환
초록

고강도, 고탄성, 고내식성, 내마모성 및 고전도도를 동시에 구현하는 구리계 하이브리드 합금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구리계 하이브리드 합금은 (A) Cu-Zn, Cu-Al, Cu-Ni-Zn, Cu-Ni-Si, Cu-Ni-Sn 및 Cu-Ni-Si-Sn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구리합금 Cu(A)와, (B) Cu-Cr, Cu-Zr, Cu-Ag, Cu-Mg 및 Cu-Cr-Zr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구리합금 Cu(B)가 이층 또는 다층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현존하는 구리계 합금에서는 얻을 수 없는 고강도, 고탄성, 고내식성, 내마모성 및 고전도도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구리계 하이브리드 합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닫기

특허 상온 상압에서의 전자빔 조사를 이용한 기체상 코어-쉘 나노입자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Production appararatus of gas-phase core-shell nanoparticle using electron beam at room temperature and atmospheric pressure and method thereof)

쉘 물질 전구체 발생기와 코어물질 발생시 그리고 입자 코팅 반응기를 구비하여 상온 상압에서의 전자빔 조사를 이용하여 기체상 코어-쉘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작동 유체에 의해 쉘 물질 전구체를 발생시키는 쉘 물질 전구체 발생부, 작동 유체에 의한 코어 물질을 발생시키는 코어 물질 발생부, 상기 쉘 물질 전구체 발생부와 상기 코어 물질 발생부로부터 유입된 쉘 물질 전구체와 코어 물질로 코어-쉘 나노입자를 형성하는 입자코팅 반응부, 상기 입자코팅 반응부로부터 생성된 코어-쉘 나노입자를 포집하는 입자 포집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상온 상압에서의 전자빔 조사를 이용한 기체상 코어-쉘 나노입자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모든 장치가 상온 상압에서 운용하면서 작동 유체에 의해 코어물질 발생기에서 코어 나노입자를 발생시키고 작동 유체에 의해 쉘 물질 전구체 발생기에서 쉘 물질 전구체 증기를 발생시키므로, 코어-쉘 나노입자를 용이하게 제조할 뿐만 아니라, 고압을 위한 장치가 필요 없으므로, 그 제조장치가 간소화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 출원번호 10-2012-0034566
    출원일자 2012.04.03
  • 등록번호 10-1468113
    등록일자 2014.11.26
  • 출원인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발명자 신원규
초록

쉘 물질 전구체 발생기와 코어물질 발생시 그리고 입자 코팅 반응기를 구비하여 상온 상압에서의 전자빔 조사를 이용하여 기체상 코어-쉘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작동 유체에 의해 쉘 물질 전구체를 발생시키는 쉘 물질 전구체 발생부, 작동 유체에 의한 코어 물질을 발생시키는 코어 물질 발생부, 상기 쉘 물질 전구체 발생부와 상기 코어 물질 발생부로부터 유입된 쉘 물질 전구체와 코어 물질로 코어-쉘 나노입자를 형성하는 입자코팅 반응부, 상기 입자코팅 반응부로부터 생성된 코어-쉘 나노입자를 포집하는 입자 포집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상온 상압에서의 전자빔 조사를 이용한 기체상 코어-쉘 나노입자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모든 장치가 상온 상압에서 운용하면서 작동 유체에 의해 코어물질 발생기에서 코어 나노입자를 발생시키고 작동 유체에 의해 쉘 물질 전구체 발생기에서 쉘 물질 전구체 증기를 발생시키므로, 코어-쉘 나노입자를 용이하게 제조할 뿐만 아니라, 고압을 위한 장치가 필요 없으므로, 그 제조장치가 간소화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닫기

특허 2,2-디니트로프로필 아크릴레이트와 3-아지도프로필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합성(Synthesis of copolymer for 2,2-dinitropropyl acrylate and 3-azidopropyl acrylate)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니트로기를 갖는 아크릴계 단량체 및 아지드기를 갖는 아크릴계 단량체의 공중합체인 폴리아크릴계 고분자를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또는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내지 C10인 알킬렌이며, m, n은 1 내지 1,000,000이다.)

  • 출원번호 10-2012-0031973
    출원일자 2012.03.28
  • 등록번호 10-1468016
    등록일자 2014.11.26
  • 출원인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주)헵스켐
    발명자 이범재 , 이혜림 , 김형석 , 김진석
초록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니트로기를 갖는 아크릴계 단량체 및 아지드기를 갖는 아크릴계 단량체의 공중합체인 폴리아크릴계 고분자를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또는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내지 C10인 알킬렌이며, m, n은 1 내지 1,000,000이다.)

닫기

특허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3E-1 균주 및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The antibio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treptomyces 3E-1 strain and its culture fluid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3E-1 균주 및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야생 망초(Conyza canadensis)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3E-1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은 유의적인 항균 및 항진균활성을 나타내고, 기존 항생물질로 알려진 트리메소프림(trimethoprim)을 유의적으로 생산하므로, 상기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3E-1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은 항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출원번호 10-2013-0099727
    출원일자 2013.08.22
  • 등록번호 10-1467990
    등록일자 2014.11.26
  • 출원인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발명자 김승범 , 신영민 , 한지혜
초록

본 발명은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3E-1 균주 및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야생 망초(Conyza canadensis)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3E-1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은 유의적인 항균 및 항진균활성을 나타내고, 기존 항생물질로 알려진 트리메소프림(trimethoprim)을 유의적으로 생산하므로, 상기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3E-1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은 항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닫기

특허 유해물질이 저감된 목재 보드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timber boards with reduced toxic substance)

본 발명은 제조된 보드류에 내장된 유해물질을 전자빔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고, 침투제를 침투시켜 방충 및 방부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향이 나도록 하는 유해물질이 저감된 목재 보드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목재로 형성된 보드류가 다수 저장되는 수분 처리장치에 적재하고, 상기 수분 처리장치 내부에 적재된 상기 보드류에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수분을 분사하고, 상기 수분 처리장치 내부의 온도가 상온인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보드류에 수분을 제1 차로 침투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차로 수분이 침투된 보드류가 상기 수분 처리장치 다음단에 구비되는 전자빔 조사장치에 투입하여 상기 보드류에 전자빔을 조사하여 상기 수분을 건조시킴과 동시에 상기 보드류 내부에 잔존하는 유해물질을 제1 차로 상기 보드류 외부로 방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유해물질을 제1 차로 상기 보드류 외부로 방출시키는 단계를 통해 제1 차로 유해물질이 제거된 보드류를 다시 수분 처리장치에 적재하고, 제2 차로 분사장치를 통해 수분을 상기 보드류에 분사하여 일정 시간 동안 수분을 침투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 차로 수분이 침투된 보드류를 전자빔 조사장치에 투입하여 제2 차로 전자빔을 상기 보드류에 조사하여 수분 건조 및 유해물질을 제2 차로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차로 전자빔이 조사된 상기 보드류를 침투장치에 투입하여 천연 수목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침투제를 투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 출원번호 10-2014-0114246
    출원일자 2014.08.29
  • 등록번호 10-1467850
    등록일자 2014.11.26
  • 출원인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발명자 이종신
초록

본 발명은 제조된 보드류에 내장된 유해물질을 전자빔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고, 침투제를 침투시켜 방충 및 방부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향이 나도록 하는 유해물질이 저감된 목재 보드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목재로 형성된 보드류가 다수 저장되는 수분 처리장치에 적재하고, 상기 수분 처리장치 내부에 적재된 상기 보드류에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수분을 분사하고, 상기 수분 처리장치 내부의 온도가 상온인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보드류에 수분을 제1 차로 침투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차로 수분이 침투된 보드류가 상기 수분 처리장치 다음단에 구비되는 전자빔 조사장치에 투입하여 상기 보드류에 전자빔을 조사하여 상기 수분을 건조시킴과 동시에 상기 보드류 내부에 잔존하는 유해물질을 제1 차로 상기 보드류 외부로 방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유해물질을 제1 차로 상기 보드류 외부로 방출시키는 단계를 통해 제1 차로 유해물질이 제거된 보드류를 다시 수분 처리장치에 적재하고, 제2 차로 분사장치를 통해 수분을 상기 보드류에 분사하여 일정 시간 동안 수분을 침투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 차로 수분이 침투된 보드류를 전자빔 조사장치에 투입하여 제2 차로 전자빔을 상기 보드류에 조사하여 수분 건조 및 유해물질을 제2 차로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차로 전자빔이 조사된 상기 보드류를 침투장치에 투입하여 천연 수목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침투제를 투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닫기

특허 유기오염물 분해를 위한 이산화티타늄ㆍ탄소재료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그를 포함하는 유ㆍ무기 나노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Titanium dioxideㆍcarbon material composite for degradation of organic pollutants, OrganicㆍInorganic nanocomposite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고분자 물질 내에 분산되는 이산화티타늄ㆍ탄소재료 복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이산화티타늄ㆍ탄소재료 복합체는 탄소재료로서 그래핀과 탄소나노튜브가 혼합된 그래핀ㆍ탄소나노튜브 혼합물 및 상기 그래핀ㆍ탄소나노튜브 혼합물의 표면에 고정되는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오염물 분해를 위한 이산화티타늄ㆍ탄소재료 복합체를 포함하는 유ㆍ무기 나노복합체가 기술된다.

  • 출원번호 10-2013-0016899
    출원일자 2013.02.18
  • 등록번호 10-1471507
    등록일자 2014.12.04
  • 출원인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발명자 김형일 , 정고운 , 문영이 , 한지호 , 강명랑 , 황가영
초록

고분자 물질 내에 분산되는 이산화티타늄ㆍ탄소재료 복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이산화티타늄ㆍ탄소재료 복합체는 탄소재료로서 그래핀과 탄소나노튜브가 혼합된 그래핀ㆍ탄소나노튜브 혼합물 및 상기 그래핀ㆍ탄소나노튜브 혼합물의 표면에 고정되는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오염물 분해를 위한 이산화티타늄ㆍ탄소재료 복합체를 포함하는 유ㆍ무기 나노복합체가 기술된다.

닫기